콘텐츠로 건너뛰기
안지언
예술학박사/사회학 부전공
anjiunful@gmail.com
School
Instagram
Facebook-f
About Me
Projects
Journal
Contribution
About Me
Projects
Journal
Contribution
Journal
논문
강명신 · 안지언 (202412). 문화다양성고취를 위한 초등4학년 대상의 다문화 음악교육 실행연구 -서울 A초등학교의 오르프 교수법을 매개로-. 문화경제연구
안지언 (202412). 제3의공간으로 문화예술교육 생활SOC에 관한 탐색적 연구 –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거점 센터 사례를 중심으로. 문화산업연구
안지언 (202412). 제주특별자치도의 가정·학교·지역사회 연계로 늘봄 교실: 보살핌의 윤리 ‘넬 나딩스(Nel Noddings)의 「행복과 교육」’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예술교육. 예술교육연구 22(4). 121-145
안지언 · 이하늘 (202410). 예술교육가의 개념 변화와 정책과 현장에서의 추동관계에 관한 연구. 문화예술교육연구 19(5). 311~334
조희연 · 안지언 (202408). 지속가능발전교육 중 고령화 사회 이슈를 중심으로 한 교육연극 교수·학습안 개발 과정 연구: 질적 문화기술지 방법 중심으로. 인격교육 18(3). 221~244
김향미 · 안지언 · 장현진 (202403). 시각의 청각화-청각의 시각화를 통한 융합예술교육 방법론 연구 : 무소르그스키의 <전람회의 그림>을 중심으로. 문화산업연구 24(1). 133~141
안지언 (202312). 다문화사회, 예술교육을 통한 상호문화이해는 왜 중요한가? -코다이협회 ‘다문화합창제’ 사례를 중심으로. 모드니예술 (20). 95~110
김영미 · 현안나 · 안지언 · 이은주 (202311). 놀이혁신 선도사업은 아동권리를 존중하고 있는가?. 아동과 권리 27(4). 653~678
정진경 · 이승미 · 안지언 (202309). 자연 기반 문화예술교육을 바탕으로 한 유아의‘창의력’과‘자기 표현력’ 발달을 위한 교수·학습과정안 개발 연구: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의미연결망을 중심으로. 문화산업연구 23(3). 193~214
안지언 (202306). 도시융합예술교육 매개활동을 통한 도시 고령화 인구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-문화적 평생학습도시로의 지향성(指向性).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41(3). 163~178
안지언 (202306). 도시공동체 속 노년기 문화예술활동을 통한‘창의적 나이 듦’ 가능성 연구: 생애전환 사례를 중심으로. 문화산업연구 23(2). 23~33
안지언 (202301). 팬데믹(전환과 위기)시대, 공연예술 기획의 방향성 진단 연구. 문화예술융합연구 4(1). 43~55
안지언 · 마수현 (202212). ‘온라인: 공연연계-예술교육’에서 교수학습자 관점에서의 연극감상교육 쟁점과 제언. 문화예술교육연구 17(6). 307~334
안지언 · 오세곤 · 이선영 (202212).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대상별 특징에 따른 범주화와 개별화에 관한 연구. 모드니예술 (19). 1~31
안지언 · 김향미 (202209). 미술관교육에서의 시니어교육 도입 필요성과 전개방향: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.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42(3). 169~184
이선영 · 안지언 (202206). 듀이의 질성적 사고와 그린의 상상력으로 본 융합학문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학문적 가능성과 방향성 연구. 교육문화연구 28(3). 155~175
안지언 · 김향미 (202204). 미술관교육에서의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‘창의적 나이 듦’개념 고찰. 한국융합과학회지 11(4). 269~282
최진경 · 안지언 (202203). 전업 예술인이 생각하는 예술(藝術)의 가치 탐색 및 예술인 복지법에 관한 인식 연구. 문화산업연구 22(1). 119~130
안지언 · 이소희 (202203). 온라인 ‘공연연계-예술교육’의 질 제고를 위한 쟁점 연구 - 연계교육 참여자 FGI를 중심으로 -. 교육연극학 14(1). 75~100
안지언 (202112). 팬데믹 시대, 예술교육자의 변화 지점과 방향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. 모드니예술 (18). 1~12
안지언 · 마수현 (202110). 심미적·지역문화 공간으로 어린이전용극장의 가치와 의의에 관한 연구. 한국융합과학회지 10(5). 143~158
안지언 · 이송하 (202108).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질 관리 연구. 문화예술교육연구 16(4). 1~23
안지언 (202012). 포스트 코로나시대: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여성의 사회재진출 가능성 연구. 모드니예술 (17). 19~31
안지언 · 이송하 (202012). 경력단절여성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재배움의 가치와 의미연구 - 직업훈련 장에서의‘연극놀이지도자’과정 중심으로 -. 문화예술교육연구 15(6). 53~77
안지언 · 이병준 (202008). ‘진지한 여가’ 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노인여가교육의 미래방향 탐구. 문화예술교육연구 15(4). 277~295
안지언 · 최현주 (201908). 유기체로의 도시: 도시재생으로 문화도시사업에 관한 탐색적연구. 상품학연구 37(4). 71~78
박주영 · 손정민 · 구자훈 (201906). 광주 대인예술시장 지원 프로그램이 예술인의 지속적 활동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. 국토계획 54(3). 5~14
이송하 · 안지언 (201901). 50+세대의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가치와 의의에 관한 질적연구.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7(1). 195~209
안지언 · 장혜미 (201901). 사회참여적 예술로의 심볼의 효과 - 옐로우 리본을 중심으로. 모드니예술 15. 51-58
안지언 · 김보름 (201808).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협력적 거버넌스의 가치와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: 성북문화재단 공유원탁회의와 신림예술창작소 작은따옴표 사례를 중심으로. 인문사회 21 9(4). 349~364
안지언 · 최현주 (201803). 북한사회 내 한류콘텐츠를 통한 남한사회 인식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. 문화산업연구 18(1). 107~114
안지언 · 이수희 · 김재범 (201702). 문화적 감성에 근거한 사회통합정책으로서의 다문화주의 예술교육의 필요성. 글로벌문화콘텐츠 (26). 89~114
안지언 · 김재범 (201610). 문화적거리가 문화예술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-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충격을 중심으로 -. 문화예술교육연구 11(5). 1~30
안지언 (201508). 대안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와 그 가치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: 인천 대안학교를 중심으로. 인문사회 21 6(2). 61~86
안지언 · 김석호 (201508). 북한이탈 청소년의 북한에서의 문화교육 경험과 한국 내 사회문화적 적응 간 관계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. 국정관리연구 10(2). 217~240
안지언 · 김재범 (201505). 창작공간 개념 고찰 및 유형별 지원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. 글로벌문화콘텐츠 (19). 121~146
안지언 (201305). 지역문화예술공간으로서 예술촌에 관한 탐색적 연구 - ‘커뮤니티 비즈니스’적 관점을 중심으로. 예술경영연구 (26). 137~177